태양계 행성 항성의 순서 : 우주의 크기는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

태양계에 위치한 지구와 별이 태양을 기준으로 어떤 순서인지 궁금했어요. 지구 속에서 외국도 별로 안 가봤는데 갑자기 제 상상력이 우주를 가고 있어요. 그래서 인간의 상상은 좋은 것입니다.

태양계의 모습 – Wikipedia

음양오행 많이 들어보셨죠? 말 그대로 달, 태양, 목화토금수… 이런 순서!
그러니까 일주일이 바로 그거죠. 태양을 시작으로 늘어선 순서대로 별 중에서 지구는 세 번째로 돌고 있습니다.

그 앞에는 수성(Mercury)과 금성(Venus)이 있습니다.

근데 좀 이상해요. 태양에 가까운 왜 수성?

수성은 엄청 뜨거운 태양에 가장 가까운 별 이름인데 한자로 물이니까… 뜨거운 기운을 물이 식히나? 그런데 이 태양에 가장 가깝다는 수성이 태양과의 거리가 무려 5800만 km 정도 떨어져 있다고 합니다.

위에 태양계 그림에서는 태양과 아주 가까워 보이는데 그 뒤에 있는 여드름 자국만한 지구가 저 정도니까 대충 상상해봐도 굉장히 먼 거리거든요. 그래도 우주적 관점에서는 상당히 가까운 거리라고 할 수 있겠죠?

수성과 지구 크기의 비교

위 그림은 수성과 지구 크기를 비교한 것입니다.

수성이 지구보다 훨씬 작아요. 그리고 태양에 가까운 만큼 지구에 비해 7배나 많은 태양열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낮에는 영상 250도에 이르고 반대로 밤에는 영하 170도까지 떨어진다고 합니다.

외형이나 색깔은 약간 달과 비슷해요.다음은 금성 Venus다음은 수성 다음으로 금성을 볼까요?금성과 지구금성은 지구와 크기가 비슷합니다.

질량도 지구의 82% 정도이고 지름도 1만 2100km로 지구 직경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지구가 직경 600km 더 큽니다.

하지만 평균 온도가 400도를 넘습니다.

너무 뜨겁죠? 금성은 수성보다 태양에서 떨어져 있지만 자전축의 기울기가 작아 계절 변화가 거의 없고 짙은 이산화탄소로 인한 대기 온실효과 때문에 높은 온도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도 이렇게 되면 안 되는데… 우리 별 – 지구!
천리안 위성이 촬영한 지구의 모습지구입니다!
아름다운 우리 별입니다.

최대한 한반도가 잘 보이는 사진을 찾아보니 천리안 기상위성이 촬영한 사진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쪽에 구름이 가려 잘 보이지 않지만 정말 소중하고 아름다운 우리 별입니다.

하나님께서 보하사 우리나라 만세… 애국가에도 나오듯이 하나님께 감사해야 할 지구입니다!
우리 별, 아름다운 지구를 사랑합시다!
사람의 욕심을 줄이고 지금이라도 지혜롭게 대처한다면 이 소중한 지구를 건강하게 하면서 잘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지구 next – 화성(Mars)지구인의 최대 관심사인 별 – 화성(Mars)화성은 언제부터인가 지구인의 최대 관심사인 별이 되었습니다.

태양계에 큰 관심이 없었던 내가 우주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화성 탐사선”때문이었습니다.

서울에서 부산 가는 것도 보통의 거리가 아닌데 어떻게 지구에서 화성까지..그것도 몇번이나 탐사 중입니다.

화성 탐사선”큐리 어시티(Curiosity)”과 “파ー사ー비아ー랑스(Perserverance)”에 대해서 여러분도 아시죠? 올해는 파ー사우이아랑스 호가 지구에 보낸 화성의 바람 소리를 들은 적이 있습니까? 정말 소름 끼치도록 신비적이었습니다.

외로운 듯 보이는 화성의 대지가 묘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습니다.

사실 지구와 화성 사이에는 달(Moon)이 있습니다.

지구인이 달에 착륙한 적은 있지만 화성에 간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영화”엄마 뉴욕”을 흥미롭게 본 적이 있습니다.

어쨌든 인간의 상상력과 연출력은 대단하네요.또 화성은 지구나 달보다 태양과의 거리가 먼 평균 온도가 영하 80번이라고 합니다.

붉은 빛이 돌고 있어 좀 따뜻하다고 생각했는데, 뜻밖이군요. 최고 온도는 영상 30도를 넘을 때도 있답니다.

이제 화성을 여행하는 상품도 나오던데 기대됩니다.

화성 다음은 “목성”아주큰별 – 목성(Jupiter)목성(Jupiter)은 화성에 이어 매우 큰 별입니다.

위의 그림은 목성이고, 맨 위의 첫 번째 그림을 보면 목성이 얼마나 큰지 바로 비교가 됩니다.

게다가 태양계의 다른 행성을 합친 질량의 2.5배라고 하니 무게도 대단합니다.

그런데 크기에 비해서 밀도가 낮아서 지구의 1300배가 넘는 크기인데 질량으로 따지면 300배 남짓밖에 안 된다는 거죠. 가스, 수증기 등으로 덮여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보이저 1호가 1979년 목성에 근접해서 찍은 사진이 꽤 유명해요. 신비로워요.신비로운 비주얼 토성함성띠를 두른 독특한 모습의 토성(Saturn)토성입니다!
옛날부터 우주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간판스타입니다.

구체 모양의 일반적인 다른 별 모양 가운데 있는 토성은 언제나 신비로운 우주의 상징 같은 얼굴 마담입니다.

그런데 지구와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이 별 역시 엄청 큽니다.

지름의 크기가 12만 킬로그램으로 지구의 9배가 넘고 부피는 700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질량은 지구의 90배 조금 넘습니다.

밀도가 낮아서 그렇대요.그리고 토요일 영어단어 Saturday도 saturn이 기원이래요. 신기하죠?그리고 토성 고리 때문에 태양계에서 먼 별임에도 불구하고 밝게 빛나고 있어 잘 보인다고 합니다.

필자 ‘KRTV’의 김 대표입니다.

태양계에 남은 천왕성, 해왕성도 있지만 일단 오늘은 음양오행(태양-월-목화토금수)에 해당하는 일주일간의 별에 대해서만 소개해드렸습니다.

가끔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를 상상하면 왠지 저쪽에 있는 존재와 교감할 것 같은 기분이 드는 건 저만의 느낌일까요?어느새 일요일 저녁입니다.

이번 포스팅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푹 쉬고 활기찬 새로운 한 주를 맞이하세요.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끝>.